건너뛰기링크
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홈화면
사이트맵
로그인
English
통합검색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외부기관
찾기
검색영역 열기버튼
검색영역닫기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문화유산을 보는
새로운 窓
로그인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예능
교육
다큐
드라마
뉴스/정책
교양
기록영상/공연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뉴스기사
뉴스레터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공모전 소개
공지사항
수상작 갤러리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English
사이트맵
미디어
미디어
사진
이야기
참여
영상프로그램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트위터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URL복사
X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편
문화유산여행길 32편 - 한반도 최초의 인류-선사시대 유적
영상 대본
펼치기
닫기
1. 프롤로그 #자막 30억 년 전 한반도 #자막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시대로 이어지는 #자막 고대 문명의 뿌리를 찾아 #자막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다 2. 타이틀 <문화유산 여행길 - 한반도 최초의 인류 - 선사시대 유적> 3. 전곡선사박물관 # 외경 자막 전곡선사박물관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평화로 443번길 2 NA수십만 년 전부터 인류가 살았던 한반도. 그때의 모습은 어떠했을지 오늘은 그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 # 사진자료 자막 구석기 시대 석기 발견 당시를 재현하고 있는 그렉 보웬 NA1978년 당시 미국병사였던 그렉 보웬은 전곡리 한탄강 유원지에서 석기 하나를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NA그가 발견한 것은 당시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에 주로 발견됐던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였습니다. 자막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타원형 또는 삼각형 모양으로 전면을 가공하여 마치 두 손바닥을 모은 모습을 한 것이 특징인 주먹도끼이다. # 아슐리안 주먹도끼 CU NA 큼직한 돌을 다듬어서 끝을 뾰족하게 만든 석기. 이전까지 발견된 것에 비해 훨씬 섬세하고 정교한 것이었습니다. # 재현장면 NA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사냥한 짐승의 뼈나 가죽을 벗기고, 땅 속에 박힌 뿌리를 자르는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였는데요. 수렵·채집 생활을 했던 구석기 사람들에겐 만능도구였습니다. # 블랙에 모비우스 사진 NA전곡리에서 발견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동아시아 구석기 문화의 새로운 발견이자 세계를 발칵 뒤집은 사건이었습니다. 자막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를 사용한 서구는 단순한 형태인 찍개를 사용한 동아시아 보다 인종적으로 더 우월하다. - 모비우스 (H. Movius)의 세계구석기 2원론 中 NA당시 세계적인 고고학자였던 하렘 모비우스가 주장한 ‘모비우스 학설’을 뒤엎는 증거였기 때문이죠. # 전시장 스케치 NA한 미군병사가 우연히 발견한 돌맹이... 그것은 단순한 돌이 아닌 동아시아 구석기 문명을 다시 보게 한 단초였습니다. NA수십만 년 전의 인간과 지금 우리의 만남. 고대유물의 발견이 위대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겠죠. 4. 서울 암사동 유적 # 공원 입구 NA다음은 서울시 강동구에 있는 ‘암사동 유적’으로 가보겠습니다. 자막서울 암사동 유적 / 사적 제 267호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875 # 공원 부감 NA이곳 암사동 선사유적지가 발견된 것은 1925년 대홍수로 인해 한강이 범람하여 많은 토기가 드러나면서 부터였습니다. # 발굴조사 당시 사진 자료 NA이후 1967년부터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시작하여 빗살무늬토기나 수혈주거지 등 다양한 신석기 시대 유물 유적이 발견되었는데요. 이를 통해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이곳에서 농사를 짓고 정착 생활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습니다. # 전시된 유물 스케치 NA암사동 유적 전시관에는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움집 모형과 다양한 형태의 빗살무늬토기, 갈돌과 갈판 등 다양한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공원 전경 NA그리고 전시관 밖에는 사람들이 과거의 삶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공원으로 만들어 사람들이 놀면서 역사를 배울 수 있는 문화의 장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5. 강화 부근리/오상리 고인돌군 # 오상리 전경 NA마지막으로 청동기 시대를 볼 수 있는 강화도로 떠나봅니다. 자막 오상리고인돌군(인천광역시 기념물 제 47호) NA청동기 시대는 계급사회로 변화하면서 지배층이 강화된 시기인데요. 그 시대 사람들의 권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흔적이 바로 이 고인돌입니다. NA죽은 사람의 시신을 안치시키고 그 사람의 사후세계 집이라 여겼던 무덤. 고인돌은 그 무덤의 한 종류로 시대의 생활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적 중 하나입니다. # CG NA돌로 된 방에 시신을 안치시키고 양쪽에 받침돌을 세워 흙더미를 채운 뒤 덮개돌을 올리기까지, # 삽화 거대한 돌을 떼어내고 운반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한 작업인데요. 때문에 고인돌의 크기는 당시 권력자의 힘을 유추할 수 있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 강화 부근리 전경 - 지석묘 자막 강화 부근리 지석묘 (사적 제 137호) NA높이 약 2.5미터, 덮개돌 길이 약 6.4미터. 이 덮개돌 무게만 자그마치 53톤인데요. 우리나라 대표적인 탁자식 고인돌로 강화 부근리 지석묘입니다. # 지구cg 고인돌 분포도 NA전 세계에 있는 약 6만 여 기의 고인돌 가운데 우리나라에 있는 고인돌만 약 4만 여 기. 그 중에서도 강화지역에 있는 고인돌은 밀집도가 높고 고인돌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볼 수 있는 유적으로 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 오상리 고인돌군 부감 NA30억 년 전부터 이 땅에 시작된 인류의 역사... 현재를 사는 우리가 망각하고 있는 선조들의 흔적을 직면할 때면 아무도 모르게 우리 속에 스며들어있는 그들을 DNA를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내용
30억 년 전부터 이 땅에 시작된 인류의 역사... 고대유물의 발견을통한 수십만 년 전의 인간과 지금 우리의 만남.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시대로 이어지는 고대 문명의 뿌리를 찾아 시간여행을 떠나본다. 전 세계를 발칵 뒤집은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한강이 범람으로 드러난 ‘암사동 유적’ 청동기 시대를 볼 수 있는 '오상리고인돌군'
I801:1605002-015-V00007
목록
다음글
문화유산여행길 31편 - 절의와 기개 호남의 선비정신을 좇아
이전글
문화유산여행길 33편 - 천문대, 별빛마을 지붕 없는 미술관 따라 별 여행
SNS 로그인
댓글등록
비밀댓글 체크박스
비밀댓글
(
0
/ 300)
전체댓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