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링크
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홈화면
사이트맵
로그인
English
통합검색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외부기관
찾기
검색영역 열기버튼
검색영역닫기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문화유산을 보는
새로운 窓
로그인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예능
교육
다큐
드라마
뉴스/정책
교양
기록영상/공연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뉴스기사
뉴스레터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공모전 소개
공지사항
수상작 갤러리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English
사이트맵
미디어
미디어
사진
이야기
참여
영상프로그램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트위터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URL복사
X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편
문화유산여행길 43편 - 마을의 수호신, 장승을 찾아서
영상 대본
펼치기
닫기
1. 프롤로그 # 장승 얼굴 여럿 자막 / 나는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자막 / 마을의 평안을 지키기 위해 (발생) 옛날 옛적부터 내가 선 자리 (후발생) 자막 / 마을의 입구 사람들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곳 --------------------------------------------------- 2. 타이틀 / <마을의 수호신, 장승을 찾아서> --------------------------------------------------- 3. ‘장승’에 대해서 & 대전의 장승 특징 # 장승 이미지 na/ 예로부터 ‘장승’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자리해 온 대표적인 민간신앙입니다. na/ 마을 입구에 세워 지역 간의 경계를 알리는 이정표 역할을 하기도 했는데요, 사용된 재료에 따라 목장승과 석장승이 있습니다. # 대전 이미지 na/ 충청권은 목장승이 주류인 지역이지만, 충청도의 대표 도시인 대전에서는 유독 돌장승이 많이 발견됩니다. # 용운동 용방이장신 자막 / 용운동 용방이장신(將神) na/ 용운동의 투박하지만 귀여운 얼굴의 장승. # 읍내동 뒷골장승 자막 / 읍내동 뒷골장승 na/ 읍내동에 나란히 서 있는 할아버지, 할머니 장승. # 소제동 장승 자막 / 대동천 소제동 장승 na/ 직사각형 형태의 무뚝뚝한 장승까지. # 장승들 모습 화면분할해서? na/ 대전에는 ‘돌장승’만 10여 기. 유사한 기능을 하던 ‘선돌’까지 합치면 약 20기가 넘는 장승이 있습니다. 4. 비룡동 줄골 장승 - 천하대장군 자막 / 비룡동 줄골 장승 ? 천하대장군 na/ 그 중에서도 비룡동 줄골 장승은 수려한 외형을 자랑하는 장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눈썹, 눈, 코, 입, 턱수염 클로즈업 - 관모 도포입은 자태 na/ 눈썹과 눈, 코, 입. 턱수염까지 섬세하게 표현했는데요, 관모와 도포자락을 입고 있는 모습은 벼슬아치를 나타낸 듯 보입니다. # 비룡동 줄골 장승 ? 지하여장군 자막 / 비룡동 줄골 장승 - 지하대장군 - 얼굴 클로즈업 na/ 비교적 단조로운 모양새지만 둥글둥글한 얼굴과 입의 모양에서 동양적인 아름다움이 배어납니다. na/ 250년 전, 이 지역의 한 가문에서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비룡동 줄골 장승. 예술적 감성이 한껏 깃들어 있는 석장승입니다. --------------------------------------------------- 5. 법동 석장승 # 법동 마을 스케치 na/ 대전광역시 법동에는 조금 특별한 장승이 있습니다. # 남장승 옆의 작은 선돌 자막 / 법동 석장승 - 남장승 na/ 석장승 옆에 작은 선돌이 함께 서 있는데요. 이 지역의 다른 장승에게선 찾아볼 수 없는 형태입니다. 사람들은 이 모양을 보고 ‘아기 장승’이라 불렀습니다. # 여장승 옆의 작은 선돌 자막 / 법동 석장승 ? 여장승 na/ 길 건너 여장승 옆에도 마찬가지인데요, 멀리서 보면 엄마와 딸, 아빠와 아들이 나란히 서서 마주보는 듯한 가족을 연상시킵니다. ’가족 장승‘인 셈이죠. # 도심 속 장승 서 있는 이미지 ? 타임랩스 na/ 본래 ‘법천골’에 서 있었던 장승은 1989년 택지개발로 인해 마을과 함께 사라질 뻔 했습니다. 하지만 100여 가구의 법천골 주민들이 이주할 때 장승도 함께 옮겨 와 지금의 자리에 서 있게 됐습니다. # 남장승, 여장승 번갈아 보여주며 na/ 남장승, 여장승이 마주 보던 모습과 방향도 원래대로 재현했죠. # 현재 ‘법천 동우회’에서 ‘석장승제’ 지내는 모습 자막 _ 법천동 석장승제 na/ 그리고 해마다 정월대보름이면 함께 ‘석장승제’를 지내며 마을의 평안을 빌고 있습니다. 주민들에게 그야말로 ‘가족’과 같은 장승이라 할 수 있습니다. ------------------------------------------------------------------- 6. 공주 탄천 소라실 마을 # 소라실 마을 들어서는.. # 마을 입구에 서 있는 장승 모습 자막 >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na/ 공주시 탄천면에는 전통 그대로 목장승을 세우는 마을이 있습니다. # 마을 앞의 야트막한 산 na/ 마을 앞의 산이 풍수상 화기를 내뿜어 예로부터 화재가 빈번했다고 전해지고 있어, 이런 재앙을 막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장승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 마을 가운데 관통하는 길 - 신랑마을, 신부마을 알아볼 수 있게... na/ 동쪽의 신랑마을에는 남장승이, 서쪽의 신부마을에는 여장승이 세워졌죠. # 장승 너댓 개 함께 새워져 있는 풀샷 na/ 연례행사인 장승세우기는 마을의 가장 중요한 행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서승렬 _ 충남도지정 무형문화재 전수인 후보자 현장음 “저희 마을은 400년 동안 매년 장승을 새로 깎아 세웁니다. 그래서 작년도, 그 지난 해, 그 전 해.. 썩어서 넘어지는 것은 새로 세우면서 빼서 불에 태웁니다. 그래서 항시 5개에서 4개는 자리를 하 고 있는 것이죠.” # 탄천 장승제 na/ 음력 정월대보름이면, 서편 신부마을에서 농기를 앞세우고 신랑 마을로 가서 세배를 올리면서 ‘장승제’가 시작됩니다. ‘탄천 장승제’는 충남 무형문화제 제8호로 지정된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자막 / 공주탄천장승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8호) # 장승 만들기 na/ 바로 이 날이 ‘장승’을 세우는 날인데요, 동네 주민들은 베어온 소나무를 직접 깎고, 얼굴을 그리며 장승을 만듭니다. # 장승 혼례식# 장승제 올리는 na/ 완성된 남장승과 여장승의 혼례를 올려준 다음, 각 마을 주민은 자신들의 장승을 모시고 돌아와 각각 장승제를 지내고, 장승을 세웁니다. # 현재 장승 서 있는 모습 여럿 - 여러 표정들 na/ 해마다 장승의 얼굴 표정은 조금씩 다르지만, 이 형태만은 400년을 이어온 변함없는 전통입니다. # 앞에 나온 장승들 모습 여럿 na/ ‘장승’은 그 마을의 환경, 전통과 문화에 따라 모두 다른 모습을 하고 서 있습니다. 여전히 마을의 수호신으로, 사람들의 간절한 마음을 담은 채 그 자리에 서 있는 우리 전통의 얼굴입니다.
내용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공주의 목장승부터 투박하지만 귀여운 대전의 가족 장승 동양적인 아름다움이 배어난 지하대장군까지 마을의 평안을 지키기 위해 늘 그자리에 서 있는 우리 전통의 얼굴 장승을 찾아 여행을 떠나다.
I801:1605002-015-V00018
목록
다음글
문화유산여행길 44편 - 수탈의 역사 서린 군산 근대유적을 찾아
이전글
문화유산여행길 42편 - 근대 역사의 숨결이 서린 곳 강경포구
SNS 로그인
댓글등록
비밀댓글 체크박스
비밀댓글
(
0
/ 300)
전체댓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