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링크
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홈화면
사이트맵
로그인
English
통합검색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외부기관
찾기
검색영역 열기버튼
검색영역닫기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문화유산을 보는
새로운 窓
로그인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예능
교육
다큐
드라마
뉴스/정책
교양
기록영상/공연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뉴스기사
뉴스레터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공모전 소개
공지사항
수상작 갤러리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English
사이트맵
미디어
미디어
사진
이야기
참여
영상프로그램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트위터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URL복사
X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편
[KBS 6시 내고향] 내고향 문화재 2편 수원화성
영상 대본
펼치기
닫기
여자MC) 자 이번에는 우리 고향의 문화재 만나러 가보겠습니다. 임혁필씨 안녕하세요 남자MC) 아우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자막> 임혁필 인물> 임혁필 임혁필) 잠든 문화재에 생명을 불어넣는 내고향 문화재 아 오늘 가볼 문화재는요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수원 화성입니다. 아 5.7km에 달하는 정말 그 성곽 건축의 꽃이죠 네 지금 수원 화성 가보겠습니다. 타이틀> 내고향 문화재 자막> 성곽 건축의 꽃 ‘수원화성’ 경기도 수원 자막> 장안문 경기도 수원시 nar>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수원 화성 이곳은 4개의 성문 중 북쪽에 위치한 장안문인데요 nar> 가까이에서 본 그 모습은 그야말로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웅장하고 정교했습니다. 자막> 유네스코 세계유산 수원화성! 임혁필) 와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화성 정말 웅장하고 너무나 아름답습니다. 캬~ 정말 제가 이 눈으로 가치를 제대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nar>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으로 옮긴 후 정조는 명령을 내리는데요 정조> 이곳에 절대 무너지지 않는 첨단 요새를 건설하라! 자막> 1794년 건설시작 nar> 1794년 정월에 시작해 2년 반만인 1796년 9월 드디어 완공됩니다. 자막> 성벽에는 총 네 개의 성문과 다섯 개의 암문 nar> 성벽에는 총 4개의 성문과 5개의 암문이 있는데요 자막> 수원화성/ 사적 제3호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이 효심으로 건축한 조선 성곽 건축의 꽃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sov> 대단하네요 진짜 자막> 장안문(북문) 수원화성의 정문은 왜 북쪽 장안문일까? nar> 보통은 암문이 정문인데 수원 화성은 북쪽 장안문이 정문입니다. 왜 그럴까요? 자막> 궁에서 33km 떨어진 곳 수원 nar> 서울에 있는 궁에서 출발해 수원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이 자막>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방문하기 위해 총 13번 수원으로 행차했던 정조 nar> 바로 북쪽 장안문입니다. sov> 이게 이게 임금님을 맞이하는 문이라서 정문이 된거군요 자막> 임금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곳 ‘북쪽 장안문’ nar> 장안무는 서울의 정문 숭례문보다 커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성문입니다. 지도> 화홍문 nar> 성문으로 들어가 동쪽으로 이동하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것이 자막> 화홍문/ 북동쪽에 위치한 수문 아름다운 무지개가 뜨는 수문으로 7개 무지개 모양의 수문이 있고 그 크기가 모두 다르다 nar> 화홍문인데요 남북으로 흐르는 수원시대 범람을 막아주는 수문입니다. nar> 7개의 수문 크기가 다 다른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ov> 웅장한 느낌이 nar> 자 계속해서 동쪽으로 쭉 이동해볼까요? 지도> 방화수류정 자막> 수원화성 방화수류정 보물 제 1709호 nar> 수원화성에서 아름다운 건축물 하면 또 빼놓을 수 없는게 있는데요 방화수리정입니다. 자막> 용연 정자 아래 성 밖에는 용이 사는 연못이 있고 못가에는 돌로 만든 용두가 남아 있다 sov> 와 이게 연못이에요? 자막> 꽃을 찾고 버드나무를 따라가는 아름다운 정자 ‘방화수류정’ nar> 이 뿐 아니라 이름도 기가 막힙니다. 꽃을 찾고 버드나무를 따라가는 아름다운 정자 크~ 자막> 빛을 받으면 더욱 아름다운 ‘꽃과 별’을 의미하는 십자 모양 nar> 이 무늬가 빛을 받으면 아름다움이 배가 되는데요 반짝반짝 빛이 난다고 하네요 자막> 수원화성의 꽃 ‘방화수류정’ 자막> 이묘일/ 수원화성 문화해설사 인물> 이묘일/ 수원화성 문화해설사 이묘일) 화성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리고 풍수지리상 이곳이 용의 머리 부분이고 저 반대편이 용의 꼬리라고 해요 그래서 용의 머리에 자막> 용의 머리에 족두리처럼 올라앉았다라고 해서 ‘용두각’ 이묘일) 꼭 저기 족두리처럼 올라앉았다라고 해서 용두각 자막> 정조가 ‘신경을 많이 쓸 것’을 당부했던 곳! 이묘일) 정조 임금님은 실질적으로 이곳을 정말 잘 지어라 어 신경을 많이 써라라고 했는데 사실상 다 짓고 이곳에 왔을 때는 그런 이야기도 하셨답니다 자막> 정조 ‘너~~무 잘 지었다!’ 이묘일) 너~무 잘 지었다 임혁필) 크~ 이묘일) 과도했다 자막>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모두 겸비한 수원화성 sov> 아 정말 잘 지었다 nar> 그런데 수원 화성은 아름답기만 한게 아니라 실용성까지 갖췄는데요 자막> 봉돈 적군의 공격에 대비해 포혏과 총안을 갖추고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을 피워 위험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는 곳 nar> 봉돈은 적군의 공격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는 곳이고 자막> 동북공심돈 동심돈은 ‘속이 빈 돈대’라는 말 그대로 높은 망루 건물 안에 3층으로 된 초소 nar> 공심돈은 지금의 초소 같은 곳인데요 자막> 동북공심돈 조선시대 성곽 중 유일하게 화성에만 있는 시설 nar> 조선시대 성곽 중에서 이곳에서만 있다고 합니다. 임혁필) 아주 잘 지었습니다. 자막> 잠깐만요! 임혁필) 어 잠깐만요! 이묘일) 네 자막> 수원화성이 부실공사?! 임혁필) 하하 아이 뭐 이렇게 잘 지은 것 같아도 역시나 부실공사 나올 줄 알았습니다. sov> 어 왜요? 임혁필) 각도가 밑으로 가 있고 이거는 위로 가 있고 아니 왜 이렇게 지었어요? 이묘일) 네 부실 공사처럼 보이실 수도 있으시죠? 네 여기 지금 여기에서부터 자막> 세 개의 구멍이 한 벌! 이묘일) 여기까지가 한 세트입니다. 한 세트는 구멍이 세 개가 있는거고요 자막> 멀리 있는 적과 가까이 있는 적을 동시에 대응가능! 이묘일) 적들은 멀리에서 올지 아니면 빨리 가까이에서 붙어 있는 적들 두 개가 다 있겠죠? 임혁필) 네 자막> 멀리 있는 적들을 공격하는 먼~ 총구멍! 이묘일) 멀리서 오는 적들을 위한 먼 총구멍! 자막> 가까이 있는 적들을 공격하는 가까운 총구멍! 이묘일) 가까이 있는 적들을 쏘기 위한 가까운 총구멍 자막> ‘원총안!’ ‘근총안!’ 이묘일) 원총안 근총안 자막> 총구의 다양한 모양 덕분에 자유로운 사격이 가능! nar> 이렇게 총구의 다양한 모양 덕분에 자유 자재로 사격이 가능했습니다. 자막> 수원화성 4개의 성문에는 또 다른 구멍이 있다? nar> 그런데 제가 이번에는 또 다른 구멍을 발견을 했습니다. 자막> 바로, 다섯 개의 구멍 ‘오성지’ nar> 이번에는 다섯 개가 한 벌입니다. sov> 총구랑은 다른 구멍인 것 같네요 nar> 딩동댕 지금부터 제가 그린 그림을 잘 보면 답이 있습니다. nar> 네 적이 불을 질렀을 때 무를 흘려 보내는 구멍인거죠 지도> 팔달문 자막> 팔달문(수원화성 남문) 보물 제 402호 nar> 드디어 정문을 출발한지 한 시간 반만에 남쪽 팔달문에 도착했습니다. 임혁필) 도심 한 복판에 이렇게 어마어마한 성이 있다는게 정말 대단합니다. 자막> 수원에 있는데 왜 화성이라고 부를까? 임혁필) 그런데 여기가 수원인데 왜 수원에 있는 성이 화성인지 이거를 모르겠어요? sov> 진짜 이름을 왜 그렇게 지었을까요? nar> 제가 다 알아봤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지금의 화성시와 수원을 포함해 모두 수원부라고 불렀는데요 정조가 상곽을 지으면서 이곳 전체를 화성구라고 승격 수원 화성이라고 불렀다네요 sov> 아 이 성곽 덕분에 승격한거군요? 자막> 수원화성은 왜 세계 유산으로 지정됐을까? 임혁필) 어떻게 세계 문화유산이 된건가요? 자막> 6.25 전쟁 당시 많은 부분이 파괴되어 세계 유산으로 인정받을 수 없었다? 이묘일) 네 실질적으로 한국 전쟁을 통해서 많은 부분이 부셔졌다가 새로 지었기 때문에 어 세계 문화 유산으로 인정 받을 수 없는 거는 확실해요 하지만 유네스코에서 이거는 되지 않는다라고 했을 때 우리가 가지고 간 책이 있었어요 자막> 화성성역의궤(1801년) 수원화성 성곽을 축조한 내용을 기록한 책 자막> 화성성역의궤(1801년) 축성의 계획부터 완공의 순간까지 성역의 모든 과정과 순서가 빠트림 없이 자세하게 기록 nar> 수원 화성은 다산 정약용과 명재상 채제공이 화성 축조에 투입되어 자신들의 지식과 경험을 아낌없이 쏟아부었는데요 이 책에는 축성의 계획부터 완공의 순간까지 모든 과정과 순서가 빠트림 없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자막> 수원화성 박물관 장고> 수원화성 박물관 nar> 수원화성이 만들어진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고 해서 찾아가봤는데요 sov> 아 작은 모형으로 만들어놨군요 자막>녹로 물레와 도르래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쓰이던 기구 성을 쌓거나 큰 집을 지을 때 사용 nar> 수원 화성을 만들 때 당시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떤 자막> 거중기 화성성역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거중기 40근의 힘으로 625배인 2만 천근의 무게를 들어낼 수 있었다 nar> 최신 도구들이 많이 사용되는데요 대표적으로는 그 거중기 수원 화성을 만들 때 처음 사용했다고 합니다. 자막> 거중기로 어떤 효과를 보았나요? 임혁필) 이 거중기가 축조할 때 어느 정도 효과를 본건가요? 자막> 조성우/ 전문의원, 수원화성박물관 인물> 조성우/ 전문의원, 수원화성박물관 조성우) 원래 수원 화성을 만들기 전에는 약 10년에 기간이 걸릴것으로 예측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 거중기를 비롯한 도구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대략 2년 7개월 정도의 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자막> 지방석수 강화부 17명 개성부 42명 경기부 9명 충청도 11명 강원도 3명 황해도 15명 전라도 2명 평안도 1명 nar> 이 뿐만 아니라 조선 8도 장인들을 모두 불러 모았는데요 한 장인이 얼마동안 공사에 투입이 되었는지 세세히 기록하고 성 곳곳에 그 이름들을 새겨 놓았습니다. 자막> 이전까지 부역의 일부로 취급됐던 성역사업 nar> 그리고 이전까지는 성역 사업은 자막> 백성들의 살림살이를 풍요롭게 하위해 노력했던 정조 nar> 부역의 일부로 취급되었었는데요 정조는 일당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조치를 했다고 합니다. 자막> 노동에 따른 성과급제 파격적인 조처 자막> 지도 / 서장대 nar> 자 드디어 수원 화성 문화재 여정의 장소> 서장대 자막> 서장대 성의 안팎이 한 눈에 들어오는 수원화성에서 가장 높은 곳 nar>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곳 서장대입니다. 자막>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심 속 ‘수원화성’ nar> 이곳에서 바라본 풍경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묘한 매력을 풍겼는데요 nar> 감격스러운 느낌을 사렬서 완성된 그림 여러분들도 그 감동이 느껴지시나요? 임혁필) 정조대왕이 이곳에서 아주 흐뭇하게 바라보셨을 것 같습니다. 자막> 수원화성! 정조 대왕의 꿈과 효심이 담긴 세계가 인정한 최고의 문화재 임혁필) 수원 화성 정조 대왕의 꿈과 효심이 담긴 세계가 인정한 자막> 구성 강문진 자료제공 문화유산채널 촬영 홍성운 연출 허성무 뉴데이픽쳐스 임혁필) 최고의 문화재입니다. 자막>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기도 수원 사적 제 3호 <수원화성> 제작지원 문화재청 한국문화재단 자막> 실용성과 예술적 아름다운을 갖춘 세계 최고의 건축물 <수원화성> 남자MC) 아유 아주 많이 배웠습니다.오늘 그런데 그림을 또 한 장 가지고 나오셨네요? 임혁필) 네 여기 그 수원 화성을 자막> 임혁필 인물> 임혁필 임혁필) 이렇게 둘러보니까 또 숨겨진 뒷이야기들이 있어요 그래서 여기 어딘지 아십니까 보면은? 여자MC) 아까 나왔던 정자 아닌가요? 임혁필) 맞습니다. 방화수리정인데요 여기에 비밀이 하나 있습니다. 여자MC) 어떤거요? 임혁필) 이 비밀이 남자MC) 정자가 정자죠 임혁필) 네 여기 보면 정조 대왕이 앉아있는데 여기를 따뜻하게 온돌로 해서 숯불로 불을 데운거에요 여자MC) 밑에서요? 임혁필) 네 여자MC) 우와 임혁필) 그런 시설이 되어 있어요 여자MC) 그러면 당시에 정말 요즘같은 자동차 열선시트가 완성이 된거네요? 임혁필) 맞습니다. 네 자 그리고 또 하나 그림을 한 장 더 보면은 네 어휴 우리 남자MC) 저거 갈비? 임혁필) 네 갈비를 뜯고 있어요 여자MC) 수원이 갈비로 유명하잖아요 임혁필) 그렇죠 또 정조 대왕님은 그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 보면은 갈비를 뜯고 있는데요 정조는 수원을 자립기반을 갖춘 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농민들에게 종자와 소를 나눠줬다고 해요 그래서 소가 늘어나자 이 자연히 큰 우시장이 형성되면서 수원하면 갈비 할 정도로 소갈비가 유명해진거죠 남자MC) 정조는 백성을 사랑하셨는데 임혁필씨는 우리를 사랑하지 않으시네요 임혁필) 하하하하 여자MC) 아무튼 뒷이야기를 들어보니 재미있네요 남자MC) 네 갈비 이야기가 아주 인상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임혁필) 아니 문화재 열심히 설명했는데 갈비만 기억하시는군요 하하 네 맞습니다. 내고향 문화재는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는데요 다음주에도 내고향 문화재 기대해주십시오 남자MC) 네 감사합니다. 여자MC) 네 다음주 기대하겠습니다.
내용
오늘 가볼 문화재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수원 화성입니다. 5.7km에 달하는 성곽 건축의 꽃이죠. 지금 수원 화성 가보겠습니다.
I801:1502004-002-V00004
목록
다음글
[KBS 6시 내고향] 내고향 문화재 1편 징비록
이전글
[KBS 6시 내고향] 내고향 문화재 3편 광주칠석고싸움
SNS 로그인
댓글등록
비밀댓글 체크박스
비밀댓글
(
0
/ 300)
전체댓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