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당굿에 대한 검색 결과
미디어(2건)+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
조선의 영원한 안식처, 조선왕릉
자연친화적인 독특한 장묘 문화를 보여주는 조선왕릉은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당대의 시대적 사상과 정치사, 예술관이 압축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공간 구성과 건축물, 석물 등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독창성이 뛰어나다. 또한 산릉도감의궤라는 뛰어난 기록물과 함께 6백 년을 이어 산릉제례가 계속되고 있는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이런 근거로 조선왕릉은 북한에 위치한 2기의 능을 제외한 40기의 왕릉이 지난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위치 : 경기 구리시 동구릉로 197 (인창동) 연락처 : 동구릉 관리사무소 031-563-2909 주변 볼거리 : 아차산 일대 보루군, 아차산3층석탑, 나만갑 선생 신도비, 갈매동 도당굿 관련 홈페이지 : http://donggu.cha.go.kr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춤사위, 태평무
... 화성재인청 출신 이동안(李東安)류가 전해지는데 김인호에게 전수받았다고 한다. 이동안류 태평무는 남색 조복(朝服)에 사모관대를 하고 한삼을 끼고 춘다. 동작이 복잡하지 않으며 경기도당굿의 춤사위들을 볼 수 있다. <태평무전수관 방문정보>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사곡동 31 태평무전수관 연락처 : 031-676-0141 주변볼거리 : 낙원공원, 안성맞춤가족공원, 금광호수, 서운산, 미리내성지 등 관련 홈페이지 : http://www.taepyungmu ...
이야기(2건)+
-
이야기 > 문화유산칼럼
제98호 경기도도당굿
... 지금은 부천의 장말에서만 완전한 형태의 경기도 도당굿을 볼 수 있다. ‘경기도도당굿’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마을 동산의 소나무 숲속에 300년이 넘은 도당할아버지와 ... ‘중굿’, 굿에 따라든 잡귀들을 풀어 먹여 보내는 ‘뒷전’으로 굿은 끝난다. ‘경기도도당굿’은 다른 지방의 도당굿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남자무당인 화랭이들이 굿을 하며, 음악과 장단도 판소리기법을 따르고 있어 예술성이 뛰어나고 전통문화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경기도도당굿’은 1990년 10월 10일에 무형유산/전통연행/의식/무속의식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되었다. 경기도도당굿 음반 ‘경기도도당굿’이라는 이름으로는 3종의 음반이 출반되어 있다. 1. 무악 (1994:삼성뮤직:SCO-042CSS) 1994년에 출반된 삼성뮤직의 이 음반은 ...
-
이야기 > 문화유산여행
경기도 도당굿
... 마을굿으로, 지금은 부천의 장말에서만 완전한 형태의 경기도 도당굿을 볼 수 있다. 경기도 도당굿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마을 동산의 소나무 숲속에 300년이 넘은 도당할아버지와 ... ‘중굿’, 굿에 따라든 잡귀들을 풀어 먹여 보내는 ‘뒷전’으로 굿은 끝난다. 경기도 도당굿은 다른 지방의 도당굿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남자무당인 화랭이들이 굿을 하며, 음악과 장단도 판소리기법을 따르고 있어 예술성이 뛰어나고 전통문화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문화재청 해리티지채널 김태욱 기자   ...
참여(2건)+
-
참여 > 공지사항
<신규 : 명사칼럼>전문가의 글로 만나는 문화유산_8월을 시작하며
... 그 이상의 해를 걸러 정월 초나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굿을 말한다. ‘경기도도당굿’은 경기도 일대의 한강 이남지역에 전해져 오는 마을굿으로, 지금은 부천의 장말에서만 완전한 형태의 경기도 도당굿을 볼 수 있다. ‘경기도도당굿’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마을 동산의 소나무 숲속에 300년이 넘은 도당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모신 당가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를 통해 대대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글/사진 ...
-
참여 > 공지사항
10월 전국서 다양한 ‘중요무형문화재 공개행사’ 개최
... 6호 택견(9일 충주시 택견전수관) -제83-1호 구례향제줄풍류(24일 구례 운조루)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17일 안동시 하회별신굿탈놀이 전수교육관) -제84-1호 고성농요(17일 고성농요상리전수관) -제98호 경기도도당굿(26일 동구릉 매표소 앞 야외무대) -제27호 승무(이애주, 25일 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 민속극장 '풍류') 등이 공연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불교에서 물과 뭍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를 달래고 위로하기 위해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풀던 종교의식인 △제126호 진관사 수륙재(10~11일 서울 북한산 진관사) △제127호 아랫녘 수륙재(15~16일 창원시 무학산 백운사)가 거행된다 아울러 기능 종목에서는 △제53호 채상장(서신정, 1~4일 전남 담양군 2015 세계 대나무 박람회) △제74호 대목장(최기영, 7일 경기 남양주시 최기영 대목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