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에 대한 검색 결과
미디어(17건)+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
위대한 유산 시즌1 - 9편 - 김홍도 1부, 태안선, 해남 녹우당
우리 전통유산의 아름다움을 쉽고 재밌게 소개하는 우리나라 곳곳에서 살아 숨쉬는 문화유산들을 소개해본다. - 7분다큐 '단원 김홍도 1부 불세출의 화가가 되다' - 발굴스토리 '주꾸미가 건져올린 보물' - 이미지문화유산 '초록 비 내리는 집, 해남 녹우당'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
쇼미더 문화유산 - 이 그림 본 적 있나요?
... 있어요 그런데 그 광경을 몰래 훔쳐보는 동자승들이 있네요. 5. 풍속화는 노동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수준에서 출발했지만 점차 신분 사회에 억눌려왔던 감정을 거리낌 없이 표출하게 되지요. 6. 이 작품을 그린 사람은 바로 김홍도와 함께 조선 풍속화의 양대산맥으로 불리는 신윤복이에요. 7. 신윤복은 양반층의 풍류, 남녀 간의 사랑, 여성의 아름다움을 작품에 주로 담았어요. 8. 자, 마지막으로 퀴즈 하나! 왜 조선 후기에 풍속화가 크게 발달했을까요? 9. 조선 후기,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서민들이 문화 예술에 관심이 늘었기 때문이에요. 서민들의 희노애락을 잘 담아낸 풍속화가 발달한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겠지요? 10. 선조들의 삶을 잘 담고 있는 조선의 풍속화! 꼭 기억해야 할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
단원 김홍도, 사랑에 빠지다 - 도담삼봉과 사인암
...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 그가 그림으로 옮기기 위해 1년을 고민한 풍경이 있었다. 과연 단원의 마음을 사로잡은 명경은 무엇이었을까? 조선시대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그도 바라만 보며, 1년 여 동안 화폭에 담지 못한 풍광이 있었다. 추사 김정희가 ‘하늘에서 내려온 한 폭의 그림’이라 칭송한 명승 제47호 사인암이다. 사인암은 ‘단양 팔경’ 중 제5경에 속하는 명승으로, 단원은 사인암 외에도 제1경 도담삼봉(명승 제44호), 제4경 옥순봉의 진경산수화를 남겼다. 단원을 사로잡았던 고혹적인 절경. 그리고 그의 붓 끝에서 탄생한 또 하나의 예술 작품. 단원의 진경산수화와 함께 도담삼봉과 사인암을 감상해본다. 위치 : 도담삼봉 - 충북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84-1 사인암 - 충북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리 25 연락처 : ...
사진(8건)+
-
사진 > 자연문화재 사진전
단양 도담삼봉 (丹陽 島潭三峰)의 일출
,「단양 도담삼봉(丹陽 島潭三峰)」은 절경이 특이하고 아름다워 단양팔경 중 으뜸으로 손꼽히며 단양군수를 지낸 이황을 비롯하여 황준량, 홍이상, 김정희, 김홍도, 이방운 등이 많은 시와 그림을 남긴 곳이다.이곳에는 조선시대 개국공신인 정도전 탄생에 관련한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데 정도전은 자신을 삼봉이라 자호할 정도로 이곳을 사랑했다고 전한다.도담삼봉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낸 원추 모양의 봉우리로 남한강이 휘돌아 이룬 깊은 못에 크고 높은 장군봉을 중심으로 세 개의 봉우리가 우뚝 솟아 그 형상이 기이하고 아름다우며 남한강과 어우러져 뛰어난 절경을 보여주고 있다.
-
사진 > 자연문화재 사진전
설악산 울산바위(雪嶽山 蔚山-, 명승 제100호)
... 울산바위 아래에는 우리나라 불교사에서 유서 깊은 계조암과 신흥사가 있어 문화적 의미가 더하며, 주세붕, 최연, 허적 등 조선시대의 수많은 문인들이 그 웅장함과 훌륭한 경치를 노래하였다. 수많은 고시문도 전하며, 김홍도가 그린 실경산수화도 여려 편이 남아있어 미술사적 명승의 가치가 있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 주소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산 40-0/ 산1-2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623 ...
-
사진 > 유형문화재 사진전
단원 김홍도작품
이야기(59건)+
-
이야기 > 문화유산칼럼
맨발벗고 바위위에 앉아 단소불면 신선이 될까?
... 다른 점이 있고, 한 화가의 그림이라도 작품에 따라 세부 묘사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현실을 스케치한 풍속화와 신비로움을 표현하는 신선그림, 종교그림에서 사실 묘사의 정도를 참작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사실 김홍도는 거문고, 비파, 젓대 연주에 능한 것으로 알려진 화가였지만, 한상자를 표현한 여러 그림을 비교해보면 악기의 세부묘사에 집착하지는 않은 듯하다. 그저 ’관악기를 연주하는 이는 한상자다’는 것을 알려주려 했을 뿐, 그가 현실에서 잘 알고 있던 악기연주모습을 반영하지는 않았다. 세로로 부는 관악기 연주모습만 해도 악기의 굵기와 길이, 또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도 각기 다르다. 일반적으로 단소나 퉁소는 왼손을 위쪽에 놓고 연주하는데 속의 한상자 연주모습은 그 반대다. 물론 왼손잡이의 경우 손위치가 ...
-
이야기 > 문화유산칼럼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음악행렬(1)
... 광대와 무동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급제자는 미리 준비된 행렬에 올라 비로소 만인들의 부러움을 사며 떠들썩하게 길거리를 주비는 ’삼일유가’를 하게 되는데, 이 장면은 조선후기에 유행한 에 상세히 묘사되었는데 그 중에 김홍도가 그린 그림이 유명하다. 길가에서, 집안에서 많은 이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문서 주머니를 든 세 사람이 행렬을 앞장서서 인도하고, 그 뒤를 악사들이 따르고 있는데, 뒷모습만 보여 확연하지는 않지만 이들은 피리 둘에 젓대, 해금, 장구, 북이 각각 하나씩 편성되는 세악수의 삼현육각임을 알 수 있다. 긴 장대에 북을 꿰어 어깨에 메고 세악수 차림의 북 잽이가 북을 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삼현육각 악대 뒤로는 화려한 채색 옷을 입고 깃털 꽂은 모자를 쓴 창우 두 사람이 손에 부채를 쥐고 옷자락을 펄럭이며 ...
-
이야기 > 문화유산칼럼
‘서울 성곽’, 영광과 수난의 역사
... 다듬은 규격화된 돌을 사용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성이 파손되었을 때, 보수하기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이처럼 세 시기에 만들어진 성곽은 축조된 돌의 모양과 돌을 쌓은 방법이 각기 달라 구분이 되었다. 이것은 단원 김홍도가 그린 「부상도(負商圖)」라는 풍속도에서도 엿볼 수 있다. 또한, 현재에도 세 시기에 쌓은 성돌이 각각 남아 있어, 성곽을 거닐면서 비교해 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숙종대에 수축 작업을 통해 그 틀을 완성한 서울 성곽은, 조선 후기까지 수도 한양을 방어하는 주요한 군사 시설이자 도성 백성들의 교통을 통제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서울 성곽은 철저히 파괴되고 말았다. 1915년 ‘경성시구역개수계획(京城市區域改修計劃)’ 아래, 성곽이 도시 발전을 저해 한다고 하여 성문과 성곽을 ...
참여(4건)+
-
참여 > 공지사항
이번주에는 어떤 프로그램이 소개되었을까요?
설악산의 비경과 원앙의 본능 그리고 첨성대에 담겨진 증언까지~ 문화유산채널만이 제공할 수 있는 고품격 문화유산 영상을 만나보실까요~~? ^^ • 한국의 명승 : 설악산의 숨은 비경, 십이선녀탕 -> 자세기보기 • 한국의 천연기념물 동물 : 원앙, 어미를 따르는 본능 -> 자세기보기 • 문화재속 과학이야기 : 첨성대, 1400년의 증언 -> 자세기보기 • 그림 속 문화유산 이야기 : 단원 김홍도 2부 조선의 패션을 담다 -> 자세기보기
-
참여 > 공지사항
* 특별공연 - <풍속화속 풍류음악>
... 그림이 만나는 옛 풍속화 속 풍류현장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진행: 손철주 ▎미술평론가, 송혜진 ▎숙명여대 교수 풍속화 속 음악이 무대에서 재연된다. -신윤복의 풍속화 , 그 그림 속 기녀가 생황으로 춘정을 노래한다. -김홍도는 거문고와 비파를 즐겼다. 그가 그린 는 비파를 연주하는 선비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그가 꿈꾸던 풍류의 한 단면이다. 그림 속 주인공이 무대에서 비파를 연주한다. -이경윤의 는 자연을 벗 삼아 안빈낙도 하는 선비들의 이상향을 그리고 있다. ► 공연내용 - 해설 : 손철주(미술평론가), 송혜진(숙명여대 교수) - 연주곡 • 도드리 (거문고 ▎전우석) • 수룡음 (생황 ▎신희선, 대금 ▎성휘경) • 풍입송 (비파 ▎정영범) ► 관람안내 - 일시 : 10. 1.(수) 오후 8시 - 장소 : 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 민속극장 풍류 - 입장권 : ...
-
참여 > 공지사항
... 구례향제줄풍류, 단원 김홍도 문화유산 이야기까지 ...
낙죽장도, 솔부엉이, 구례향제줄풍류, 단원 김홍도 문화유산 이야기까지~ 다양한 문화유산 영상을 문화유산채널(www.k-heritage.tv)에서 만나보세요~! •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 기능편 : 선비의 칼 낙죽장도 -> 자세히보기 • 한국의 천연기념물 동물 : 소나무 숲의 전설, 솔부엉이 -> 자세히보기 •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 예능편 : 중요무형문화재 제83-1호 구례향제줄풍류 ->자세히보기 • 그림 속 문화유산 이야기 : 단원 김홍도 3부 조선의 순간을 포착하다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