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1942건)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서울특별시>)
소리는 나의 운명 서도소리 이수자 박정욱4부
서도소리 이수자이자 국악 콘서트 하우스를 운영하는 박정욱(47)- 출연자 겸 무대연출자로 바쁜 일정을 보내는 그가 빼놓지 않는 일이 있다. 바로 공연 의상을 직접 디자인하는 일, 의상 제작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다. 소리길로 들어선 후 늘 힘겨웠던 살림. 열아홉의 박정욱은 스스로 돈을 벌어 소리를 배우겠다며 홀로 상경했고, 도축장과 공사장을 전전하며 힘겨운 생활을 견뎌야했다. 춥고 배고팠던 시절을 통과하며 그가 얻은 건 나이보다 성숙한, 한 서린 소리였다. 하지만 그 소리의 깊이와 정서는 말로 가르칠 수 없는 법- 어린 제자를 가르치던 박정욱은 난관에 부딪치고, 해결책을 고민하던 그가 한 장의 CD를 꺼내드는데...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서울특별시>)
버선본에 기원을 담다
버선을 만들 때 사용되던 기본 틀, 버선본. 이 버선본에 편지를 쓴 유물이 발견됐다. 옛 한글로 쓰인 버선본 편지 한 쌍. 버선본에 편지를 쓴 이는 누구이며 왜 하필 종이가 아닌 버선본에 편지를 썼을까. 그리고 마치 한 쌍처럼 보였던 버선본의 크기가 서로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버선본 편지에 담긴 가슴 따뜻한 사연을 만나본다.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연락처 : 국립중앙박물관 02-2077-9000 주변 볼거리 : 덕수궁, 남산, 전쟁기념관, 정동공원 관련 홈페이지 : http://www.museum.go.kr/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11-91호 연락처 : 설경나래옷 공방 02-766-8683 주변 볼거리 : 북촌한옥마을, 인사동, 서울성곽, 경복궁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경상북도>)
미투리, 400년 전의 사랑을 말하다
지난 1998년, 안동대학교 발굴팀은 독특한 유물 하나를 발견했다. 관 속에서 발견된 미투리 한 켤레. 더 놀라운 것은 그것이 머리카락으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다. 머리카락 미투리의 주인은 누구일까. 도대체 무슨 사연으로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신을 삼은 것일까. 망자의 가슴 위에 놓여있던 한 장의 편지, 그 속에서 400년을 넘은 사랑 이야기가 깨어난다.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388번지 연락처 : 국립안동대학교 박물관 054-820-7421 주변 볼거리 : 귀래정, 도산서원, 하회마을, 봉정사 관련 홈페이지 : http://museum.andong.ac.kr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경기도>)
조선의 비밀병기, 편전
대왕 세종은 한 화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엄격한 명을 내렸다. "변경의 야인(野人)들이 보는 곳에서 연습하지 말게 하여 야인이 익혀 보지 못하게 하고, 또 숨기고 비밀히 하는 뜻을 알지 못하게 하라.” 적들이 알지 못하도록 연습마저 조심하게 한 화살, 그것은 바로 편전이다. 일반 화살의 반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작은 화살을 이렇게 중요하게 여겼던 이유는 무엇일까. 반토막 화살 편전은 어떻게 조선의 비밀병기가 될 수 있었을까. 조선시대 편전에 담긴 비밀을 찾아가 본다. 위 치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242-5 연락처 : 031-944-6800 주변 볼거리 : 헤이리 예술마을, 프로방스, 보현산 관련 홈페이지 : http://www.arrow.or.kr 위 치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태룡리 190 연락처 : 055-352- 9967 주변 볼거리 : 표충서원, 박연정, 표충사 관련 홈페이지 : http:/ ...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강원도>)
천연기념물 제217호 산양을 아시나요? 한국산양보호협회 김문연
이른 아침부터 산양의 배설물을 찾아 그 상태를 살피며 하루를 시작하는 이가 있다. 바로 한국산양보호협회 김문연 씨. 양구에서 직업 군인으로 지내던 그가 산양과 함께 하게 된 이유는 특별한 경험 때문이었다. 훈련 도중, 밀렵꾼들에게 희생된 산양과 수많은 야생동물을 보고 말할 수 없는 고통에 가슴 아팠던 그. 더 이상 지켜볼 수만 없다는 생각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나섰다. 그러던 중 한국산양보호협회를 알게 되었고, 그는 현재 17마리의 산양을 보살피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217호 산양. 우리의 소중한 자연유산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중요성을 모른 체 지나치고 있다. 산양을 널리 알리기 위한 김문연 씨의 끝없는 질주. 과연 그가 바라는 것은 무엇일까? 위치 : 강원도 양구군 동면 팔랑리 247번지 연락처 : 한국산양보호협회 033-480- ...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전라남도>)
아리랑 1부 민족의 소리 아리랑
우리의 민요 아리랑이 2012년 12월 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특정 지역이나 시대의 아리랑이 아닌 후렴구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로 끝나는 노래 전체가 대상이다. 아리랑은 세대를 거쳐 끊임없이 재창조 되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되었고, 한국 국민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결속을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공감을 얻었다. 오랜 세월 우리 민족과 함께 해온 노래, 아리랑의 유래를 따라가 본다. 위치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아리랑길 95-5 연락처 : 061-544-8839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경기도>)
어의가 된 마의
조선시대 말은 사람보다 귀한 대접을 받았다. 그래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으로 말을 다룬 전문가가 있었으니, 바로 마의. 하지만 마의는 천대받는 직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이 직접 찾는 마의가 있었으니, 바로 백광현. 마의에서 어의까지 오른 그는 과연 누구일까. 위치 :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685 마사박물관 연락처 : 02-509-1283 주변 볼거리 : 경마공원 관련홈페이지 : http://www.museum.kra.co.kr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서울특별시>)
우리시대 마지막 율객, 중요무형문화재 제16호 거문고산조 보유자 김영 ...
중요무형문화재 거문고산조 보유자인 김영재. 연주는 물론 소리와 춤에까지 빼어난 기량을 갖춘 다재다능함으로 국악계에서는 그를 ‘우리 시대 마지막 종합예술인’이라고 부른다. 사재를 털어 마련한 국악 전용 소극장 를 지난 20년간 한결같이 운영해왔던 그의 마지막 바람이자 일념은 스승이 남긴 거문고산조 가락을 후대에 오롯이 전하는 것이다. 오랜만에 제자들과 한 무대에 선 연유도 국악계의 거목이었던 스승 신쾌동의 음악을 기리기 위해서다. 거문고의 전통과 현대, 과거와 미래가 잘 어우러진 공연을 성황리에 마무리한 그가 오늘은 호젓한 교외로 향하는데...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48-23 연락처 : 02-326-2820 주변 볼거리 : 양화나루, 잠두봉유적지, 봉래유묵, 청초중단 등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서울특별시>)
학과 연꽃의 궁중무용, 학연화대합설무
중요무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된 일종의 궁중무용. 학무와 연화대가 하나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궁중무용에서 대작(大作)에 속하는 작품. 학연화대 합설무에 대해서 학무인 경우, 조선 초기 ≪악학궤범≫에는 청학과 백학, 조선 말기 ≪정재홀기 ≫에서는 청학과 황학, 고종 9년(1872) 정현석의 ≪교방가요≫에서는 백학 한 쌍이 서로 대무하면서 춤을 추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춤은 고종 이후 단절되었다가 1935년 부민관에서 발표된 한성준의 창작 학무로 명맥이 이어져 내려 오고 있다. 연화대는 고려시대의 당악정재로서 중국에서는 석지무라 한다. 이 춤은 나라의 어진 정치를 칭송하는 내용을 주제로 삼고 있다. ≪악학궤범≫에 따라 학연화대 처용무합설로서 향악정재에 편입되어 있는데, 1971년 처용무가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면서 학 ...
-
미디어 > 영상프로그램(지역별>서울특별시>)
소리는 나의 운명 서도소리 이수자 박정욱5부
서도소리 이수자 박정욱은 벌써 8년째 매주 목요일마다 국악콘서트를 진행해왔다. 서도소리를 듣겠다며 찾아오는 이들을 위해 어렵게 이어온 공연은 어느새 200회를 맞고, 박정욱은 뜻 깊은 공연에 특별한 출연자를 섭외했다. 배뱅이굿을 전수해준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이은관 옹. 서도소리의 살아있는 역사, 이은관 선생과 그 맥을 잇기 위해 일신의 안위를 뒤로 한 채 한 길을 걸어온 제자 박정욱이 함께 꾸미는 무대의 막이 오르고, 아흔 다섯의 스승은 제자의 무대를 위해 손수 장구채를 잡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