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링크
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홈화면
사이트맵
실시간 방송
로그인
English
뉴스레터 구독하기
통합검색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외부기관
찾기
검색영역 열기버튼
검색영역닫기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문의사항
문화유산을 보는
새로운 窓
로그인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뉴스기사
뉴스레터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공모전 소개
공지사항
수상작 갤러리
문의사항
English
사이트맵
미디어
미디어
사진
이야기
참여
영상프로그램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트위터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URL복사
X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편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
영상 대본
펼치기
닫기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경주 감은사지(사적 제31호) 소재구 전 고궁박물관 관장 / 전 문화재위원 감은사는 신라 문무왕이 부처의 힘으로 왜적을 막아주소서 하는 마음으로 지은 절입니다. 그의 아들인 신문왕이 절을 완성한 후에 아버지의 은혜에 감동한다는 의미로 감은사란 이름을 붙여준 것입니다 이 탑은 전형적인 신라 통일기 석탑의 모델이 되었으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탑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거보다 탑의 키가 작아지게 되어 탑신이 작아졌지만 기단을 키워서 그 비율을 맞춰서 탑의 격을 유지하였습니다. 지붕돌의 처마에는 다섯층으로 된 층단받침이 세겨져 있는데 이방식도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는 기법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국립경주박물관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보물 제366호) 최응천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 문화재 위원 탑속에 넣는 사리를 보호하기 위한 그릇과 일체를 사리기 및 사리장엄구라고 부릅니다 당시에 가장 비싼 금속이나 유리를 사용해서 사리를 보호하고, 금은보화를 함께 넣음으로 해서 당시의 공예기술, 종교, 과학 등을 알 수 있는 타임캡슐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감은사지 사리기외함에 조각되어있는 사천왕상의 모습을 통해 당시 당나라를 통해 들어온 국제적인 굽타미술양식이 그대로 통일신라까지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7세기후반 신라의 수도 서라벌은 국제적인 도시였다는 것을 이 사리기를 통해서 분명히 입증할 수가 있습니다.
내용
2016 UHD한국의 문화유산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 및 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를 소개 소재구, 최응천 교수의 해설
I801:1610005-001-V00062
목록
다음글
수원 화서문
이전글
굴피집
SNS 로그인
댓글등록
비밀댓글 체크박스
비밀댓글
(
0
/ 300)
전체댓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