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링크
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홈화면
사이트맵
로그인
English
통합검색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외부기관
찾기
검색영역 열기버튼
검색영역닫기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문화유산을 보는
새로운 窓
로그인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예능
교육
다큐
드라마
뉴스/정책
교양
기록영상/공연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뉴스기사
뉴스레터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공모전 소개
공지사항
수상작 갤러리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English
사이트맵
미디어
미디어
사진
이야기
참여
영상프로그램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트위터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URL복사
X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편
문화유산여행길 59편 - 궁예와 공양왕 고려의 시작과 끝
영상 대본
펼치기
닫기
1. 프롤로그 # 자료그림 / 떠오르는 해 (2초 보고) 떠오르는 태양은 가슴 벅차지만, #산등성이로 노을 깔리며 지는 해 지는 해는 아쉽기 마련이죠. # 철원 항공샷 (산들 많이 있는 지역) 사라져가는 왕조를 마지막으로 품은 땅. 강원도에서 고려의 시작과 끝을 되짚어 봅니다. ---------------------------------------------------------------------------------------------- 타이틀 궁예와 공양왕 - 고려의 시작과 끝 ---------------------------------------------------------------------------------------------- 2. 명성산 # 명성산 항공샷 강원도 철원은 궁예와 인연이 깊은 곳입니다. # 무빙 항공샷 궁예는 901년에 도읍을 개성에 두고 고려를 건국한 이후, # 지도 c.g 905년에 이곳 철원으로 도읍을 옮겼습니다. 철원 평화의 전망대에 가면, 궁예가 세웠던 도성을 멀리에서나마 볼 수 있습니다. # 자료그림 (궁예도성쪽) (보고) # 성벽들 성벽의 흔적만 남은 궁예도성의 위치는 비무장지대 안쪽. 군사분계선이 도성 한가운데를 지나갑니다. # 궁예능선 고려를 세운 뜻은 컸지만 궁예의 폭정은 날이 갈수록 심해졌고, #능선 항공샷 결국 왕건에게 왕위를 뺏기고 명성산으로 쫓기게 됩니다. 추격군에 의해 끝내 피살됐다는 설이 전해지는 명성산.. # 궁예봉 이 곳은 궁예의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해서 울음산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 자막 - 명성산은 울음산을 한자로 표기한 것 # 박광일 int -------------------------------------------- q 궁예봉, 궁예능선의 유래는? 박광일> 전설이에요. 궁예와 왕건의 부대가 이곳 명성산 일대에서 접전을 벌였고 궁예가 폐퇴를 했다. 궁예가 머물렀던 곳이라고 해서 궁예봉, 궁예 능선이라는 이름이 남아있는 것죠. ---------------------------------------------------------------------------------------------- 3. 왕곡마을 - 고려의 마지막 왕을 섬긴 마을 #지도 c.g / 고성 강원도 고성군 왕곡 마을에선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다섯 개의 산으로 둘러싸여 계곡을 이루고 있다 해서 왕곡이라 불리게 된 이 마을은 하늘에서 보면 영락없는 배 모양입니다. # 산아래 마을 (구름 흘러가는) 폐위된 몸으로 고성으로 유배 온 공양왕.... # 집보이고 pan 고려의 충신이었던 함부열은 폐위된 공양왕을 따라 이곳에 내려왔고, 그의 차남도 옮겨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됐습니다. 왕곡마을은 임진왜란 당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후 하나 둘 복원되어 지금은 북방식 전통가옥의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마을이 됐습니다. -안방과 사랑방, 부엌 이어진 북방식 한옥은 안방과 사랑방, 마루와 부엌을 한 건물 안에 나란히 배치하고, -뒤쪽 담 있는 모습 뒤쪽은 벽을 두어 추위에 대비합니다. 왕곡마을은 국가 중요민속문화재입니다. * 자막 - 국가 중요민속문화재 제235호 ---------------------------------------------------------------------------------------------- 4. 하조대 - 기암괴석 절벽 위에서 꿈꾼 새로운 세상 # 지도 c.g 고려 말, 강원도 양양에선 새로운 나라를 꿈꾸는 이들이 있었습니다. # 바다에서 기암기석쪽으로 pan 하륜과 조준은 왕실이 지도력을 상실하자 # 바위에 부서지는 파도 새로운 왕조 건립에 뜻을 두고 # 왼쪽 바위, 오른쪽 파도있는 이곳 양양으로 내려왔습니다. # 바위에서 pan 소나무 기암괴석과 바위섬들로 이뤄진 암석 해안. # 하조대 f.s 그 위에 세워진 하조대 이곳에서 하륜과 조준은 새로운 세상을 계획했습니다. # 하조대에서 바라본 풍경 아름다운 풍경과 천길 낭떠러지가 공존하는 곳... 새 나라를 꿈꾸던 하륜과 조준의 심정 또한 이곳 풍경 같지는 않았을는지... 그들은 훗날 조선의 개국 공신이 되었습니다. ---------------------------------------------------------------------------------------------- 5. 삼척 공양왕릉 - 고려의 마지막 왕 # 지도c.g / 삼척 공양왕릉 강원도 삼척에는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릉이 있습니다. # 항공샷/ 공양왕릉 공양왕은 무능한 왕이라는 평가와 착하고 여린 성품의 왕이었다는 평가로 엇갈립니다. # 공양왕릉 - 왕릉 f.s (아들 묘까지 보일 수 있게) 고려 멸망과 함께 유배 생활을 거듭하다 삼척에서 최후를 맞이한 공양왕.. 이곳에는 그의 두 아들도 함께 묻혀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 전문가 int -------------------------------------------------- q 경기도 고양에도 공양왕릉이 있다는데... 왕릉이 두 군데 있는 까닭은? 역사기록하고 관련이 있을 겁니다. 공양왕은 널리 알려진 것처럼 처음에 강원도 고성으로 유배를 갔다가 삼척에서 죽음을 맞이합니다. 아마 그때 무덤을 만들었을 거구요. 태종때 무덤을 다시 정비했다는 기록도 나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양 지금 원당쪽으로 옮겨왔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대요. 두 개의 무덤을 알려주는 기록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세종 17년 기록에 따르면 안성에 있었던 공양왕 초상화를 현 고양왕릉으로 옆으로 옮겨왔단 기록이 있구요. 허목의 ‘척주지’에 보면은 삼척에 공양왕릉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생각해볼 때 처음에 무덤을 만들었던 곳은 삼척이었고 어떤 이유에서 고양으로 옮겨왔을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공양왕릉 -장식 하나 없는 쓸쓸해 보이는 느낌으로 고려의 마지막을 함께 한 비운의 왕... 그의 무덤엔 사라진 왕조의 쓸쓸함이 묻어납니다.
내용
궁예와 인연이 깊은 강원도 철원부터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유배지 강원도 고성군 왕곡 마을까지. 사라져가는 왕조를 마지막으로 품은 땅. 고려의 시작과 끝을 되짚어 보러 강원도로 떠나봅니다.
I801:1803002-002-V00007
목록
다음글
문화유산여행길 58편 - 역사의 빛, 광주 오월길
이전글
문화유산여행길 60편 - 금강 천리, 대청호 둘레 오백리 1
SNS 로그인
댓글등록
비밀댓글 체크박스
비밀댓글
(
0
/ 300)
전체댓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