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링크
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홈화면
사이트맵
로그인
English
통합검색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외부기관
찾기
검색영역 열기버튼
검색영역닫기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문화유산을 보는
새로운 窓
로그인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예능
교육
다큐
드라마
뉴스/정책
교양
기록영상/공연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국외소재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뉴스기사
뉴스레터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공모전 소개
공지사항
수상작 갤러리
문의사항
실감 누리관
English
사이트맵
미디어
미디어
사진
이야기
참여
영상프로그램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트위터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URL복사
X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편
문화유산여행길 54편 - 7년 만의 승리 의병과 승병
영상 대본
펼치기
닫기
1. 임진왜란 # 외군들 쳐들어오는 떼샷 (2초간 보다가) 1592년!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20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을 침범합니다. # 지도 미처 전쟁 대비를 하지 못한 조선은 수도인 한양에 이어 평양까지 내줘야했죠. 임금마저 궁궐을 버리고 피난길에 오른 상황... 회생할 수 없어 보였지만 그때 전국 각지에서 나라를 지키려는 의병들이 일어납니다. ---------------------------------------------------------------------------------------------- 소타이틀 / 7년 만의 승리 - 의병과 승병 (서울 경기권) ---------------------------------------------------------------------------------------------- 2. 독산성과 새마대지 # 독산성 지도 C.G (오산시) (2초 보고) 경기도 오산시 독산성에서는 권율 장군과 의병이 힘을 모았습니다. # 독산성 항공샷 이곳은 쌀로 말을 씻었다는 세마대지 전설이 전해지고 있는 곳이죠. # 독산성 남문 빼앗으려는 왜군과 지키려는 의병이 치열하게 싸웠던 남문.... 이곳에 남아있는 문확석은 지난날을 기억하고 있을까요? # 암문의 문확석 2개 자막// 문확석 : 문짝을 지지해주는 받침돌 # 카메라 남문에서 정상쪽으로 쭉 따라 올라가기 남문에서 정상으로 올라가면 쌀로 말을 씻었다는 ‘세마대’가 나옵니다. # 세마대 임진왜란 당시 왜군은 성 안에 물이 없을 거라 판단하고 물 한 지게를 올려 보내 관군을 조롱했습니다. 독산성은 식수난을 겪고 있었지만 권율은 높은 곳에 올라가 흰 쌀을 말 위로 쏟아 붓게 했죠. 멀리서 보면 흰 쌀이 마치 물처럼 보이게 말이죠. 이 광경을 본 적장은 성 안에 물이 충분하다 생각했고, # 퇴각하는 왜군 전의를 상실하고 퇴각합니다. # 그래픽, 장군 1.s 나오면 때를 놓치지 않고 권율과 합세한 (우리공격) 의병들은 왜군의 퇴로를 공격, 큰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 2. 행주산성 - 권율과 처형 # 지도 c.g 독산성 승리를 기반으로 권율은 한강을 넘어 행주산성으로 진군합니다. # 행주산성 항공샷 승병장 처영도 천여 명의 승병을 이끌고 산성에 도착하죠. 하지만 아군의 수는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관군, 의병 승병을 합친 수는 삼천여명 왜군은 이보다 열배나 많은 삼만 여명.... # 권율동상에 행주산성에 들어서며 권율과 처영은 어떤 심정이었을까요? # 행주산성 길 1593년 2월 12일 새벽, 왜군은 7개 부대로 나눠 성을 공격해 옵니다. # 동판 쭉 훑어주는 컷에 대군이 밀려들자 성 안의 아군은 화차에서 포를 발사하고 수차석포에서 돌을 뿜어냈죠. 적은 궤멸상태에 빠지는 듯 했지만 총대장 우키타는 희생을 감수하고 다시 공격에 나서며 아군은 동요했습니다. # 아낙네들 동판 t.s 12시간이나 계속된 전투. 성 안에 무기가 부족해지자 아낙네들은 치마를 잘라 돌을 날랐습니다. # 기념관 팔로우 (보고) #기념관 전경 f.s 이길 수 없을 거라 보였던 전투.. # 기념관 안 팔로우 아홉 번의 공격이 모두 실패하자 왜군은 퇴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그림쪽으로 다가가면 적군의 사상자는 1만 명. # 행주대첩 그림 t.s 회복하기 힘든 타격을 받았고 아군은 이 전투를 통해 육상전투에서도 반전의 계기를 마련합니다. # 그림에서 전시유리 pan 수적인 열세에도 불구하고 큰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뛰어난 전략전술과 함께 최신 무기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 화살들 당시 사용됐던 무기는 행주대첩기념관에 전시돼 있습니다. # 신기전과 화차 t..u 불화살이 동시에 발사되는 최신의 무기! 신기전은 적을 두려움에 떨게 했죠. # 박광일 인터뷰 # 기념비 조선의 최신 무기와 호국충절 정신이 이뤄낸 행주대첩은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입니다. -------------------------------------------------------------------------------------------- 3. 전국의 의병 # 총 쏘는 왜군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은 조선 전역에서 약탈을 일삼았습니다. # 의병들 일어나는 이러한 때, 내 나라 내 마을을 지키기 위해 전직관리, 유학생, 농민 등이 전국 각지에서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이들은 정식 군사훈련을 받은 것도 아니고 왜군에 비해 그 수도 턱없이 적었지만 지역의 지리에 밝아 효과적인 전투를 치러낼 수 있었습니다. 4. 의병 의엄이 증죽한 파사산성 # 파사산성 항공샷 경기도 여주시 파사산성 역시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 지도 C.G # 입구 팔로우 승병장 의엄은 적군과의 싸움에 대비해 오백여명의 승려들과 함께 3년에 걸쳐 파사산성을 대대적으로 수축했습니다. # 소나무 보이는 성벽길 팔로우 호젓한 성벽길을 따라 걷다 만나게 되는 파사성 연인 소나무 # 소나무 글귀 / “이 사이로 지나가면 사랑이 이뤄진다“ # 파사성 스케치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는 파사산성을 걸으며 추억을 만들지만 승병장 의엄은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한다는 일념뿐이었습니다. # 산성길 드론 팔로우 (보고) # 산성 정상 (색바랜컷) 오산시와 남한강이 한 눈에 보이는 정상에 올라서, # 정상에서 본 아래풍경 그 옛날 나라를 위해 싸웠던 호국선열들의 마음을 되새겨 봅니다.
내용
1592년 임진왜란. 전쟁 대비를 못했던 조선은 한양에 이어 평양까지 외군에 내주고 임금마저 피난길에 오르게 되었는데. 그때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 독산성과 행주산성, 파사산성에서 호국선열들의 마음을 되새겨 봅니다.
I801:1803002-002-V00002
목록
다음글
문화유산여행길 53편 - 시대를 앞서 간 여인들
이전글
문화유산여행길 55편 - 백제의 혼이 녹아 있는 곳, 산성
SNS 로그인
댓글등록
비밀댓글 체크박스
비밀댓글
(
0
/ 300)
전체댓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