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링크
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홈화면
사이트맵
실시간 방송
로그인
English
통합검색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외부기관
찾기
검색영역 열기버튼
검색영역닫기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문의사항
문화유산을 보는
새로운 窓
로그인
미디어
영상프로그램
예능
교육
다큐
드라마
뉴스/정책
교양
기록영상/공연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사진
유형문화재 사진전
무형문화재 사진전
자연문화재 사진전
이야기
문화유산소식
뉴스기사
뉴스레터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문화유산기자단
참여
공지사항
이벤트
공모전
공모전 소개
공지사항
수상작 갤러리
문의사항
English
사이트맵
미디어
미디어
사진
이야기
참여
영상프로그램
영상프로그램
융복합 콘텐츠
360 VR
채널뮤직
트위터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URL복사
X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편
[KBS 6시 내고향] 내고향 문화재 39편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아리랑
영상 대본
펼치기
닫기
자막> 임혁필 인물> 임혁필 임혁필) 제가 이번에는 강원도 정선에 다녀왔는데요. 아 노래라는 노래는 원 없이 듣고 왔습니다. 문화재 찾으러 갔다가 웬 노래 타령이냐고요? 지금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자막> 내고향 문화재 타이틀> 내고향 문화재 NAR> 삶의 희로애락을 담은 노래.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떠나는 문화재 여행. 지금 출발하겠습니다. 자막> 삶의 노래 정선아리랑 강원도 정선군 부제목> 삶의 노래 정선아리랑 자막> 강원도 정선군 지역> 강원도 정선군 NAR> 태백산맥의 힘찬 산자락과 동강의 맑은 강줄기가 어우러진 고장 강원도 정선을 찾았습니다. 정말 멋지죠? 한반도 모양인데요. 자막> 정선 병방치 임혁필) 안녕하세요. 안녕~ 제가 문화재를 찾으러 다니는 사람이거든요. 근데 여기 정선에도 아주 유명한 문화재가 있다고 하는데 알고 계신 거 있나요? 자막> 정선의 대표적인 문화재? 여행객) 글쎄요 뭐가 있을까요. 자막> 아리랑 아리랑 어린이) 아리랑이요. 임혁필) 아리랑? 정선아리랑? 어린이) 네. 자막> 정선아리랑을 찾으려면 아우라지! 임혁필) 정선아리랑을 어디 가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여행객) 글쎄 어디 가면 알 수 있을까요? 여기 ‘아우라지’라고 있어요. 거기 가면 아실 수 있을 거예요. 자막> 아우라지 송천과 골지천이 합류하여 어우러지는 곳 NAR> 구절리에서 흐르는 송천과 중봉산에서 흐르는 골지천이 합류하며 어우러진다고 해서 ‘아우라지’라 불리고 있었습니다. 임혁필) ‘아우라지’라... 아우라지…. 오! 아우라지 처녀 상. 여기인 거 같은데요? 자막> 아우라지 처녀 상 발견! 임혁필) 근데 도대체 노래는 어떤 노래를 말하는 거야? 어! 저기 사람들이 노래를 부르면서 오고 있습니다. 자막> 이 내 몸은 어디로 갈라고 이 배에 올랐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NAR> 이 한 서린 가락이 정선아리랑입니다. 자막> 아리랑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NAR> 아리랑은 지난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데 이어 국내에서도 지난 9월 중요무형문화재로 공식 지정되었습니다. 자막> 아리랑 2015년 9월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자막> 이현수 / 정선아리랑 전수조교 이현수) 이 노래가 궁금하신가요? 임혁필) 안녕하세요. 이현수) 네 정선아리랑 전수조교 이현수입니다. 반갑습니다. 임혁필) 네 반갑습니다. 정선아리랑이요? 이 노래가 정선아리랑인 건가요? 이현수) 네, 정선아리랑. 임혁필) 근데 제가 아는 아리랑은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이거랑 다른데요? 자막>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자막> 남도 민요를 대표하는 진도아리랑 이현수) 혁필씨가 부른 거는 남도 민요를 대표하는 진도아리랑. 자막> 진도아리랑 NAR> 이 곡이 호남을 대표하는 진도아리랑인데요. 특유의 꺾는 음이 구성지죠. 자막> 밀양아리랑 NAR> 경남을 대표하는 밀양아리랑은 빠르고 경쾌한 게 다른 아리랑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자막> 아리랑은 모두 똑같다? 임혁필) 아니 진도아리랑, 정선아리랑 다 똑같은 아리랑 아닌가요? 이현수) 어떻게 보면 똑같다고 볼 수 있는데요. 자막> 아리랑의 고향, 모태, 근원지 정선아리랑 이현수) 정선아리랑이 아리랑의 고향이고 모태고 근원지고. 그 이유는 정선아리랑은 아주 느리고 깊은 맛이 있죠. 자막> 느리고 깊은 마의 정선아리랑 이현수) 그래서 가면 이렇게 가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자막>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이현수) 들어보셨나요? 임혁필) 아 너무 구슬프네요. 자막> 삶의 애환이 녹아 있는 정선아리랑 이현수) 삶의 애환이 그대로 녹아 흐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자막> 긴 아리랑 NAR> 정선아리랑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길게 늘어지는 긴 아리랑이 있고요 자막> 자진아리랑 NAR> 자진 조는 긴 아리랑보다 빠르고 경쾌한 느낌이죠. 자막> 엮음아리랑 NAR> 이건 엮음아리랑인데요. 꼭 랩 같지 않습니까? 자막> 뗏목아리랑 우리집에 낭군님은 떼 타고 가셨는데 황새여울 된꼬까리로 무사히 다녀오세요 NAR> 우리나라 민요 대부분이 그렇듯이 아리랑도 노동의 피곤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동요의 역할을 했는데요. 물줄기를 타고 일터에서 온 나무를 뗏목으로 엮던 아우라지 강가는 뱃사공들의 아리랑 소리가 끊이질 않았습니다. 자막> 정선아리랑 애정편의 탄생지 아우라지 NAR> 또 이곳에선 정선아리랑 애정편이 탄생하기도 했는데요. 자막> 강을 사이에 둔 처녀 총각이 사랑을 속삭이던 곳 이현수) 강과 강을 사이에 두고 저 건너편의 총각이 또 이쪽 편에 처녀가 만나서 사랑을 속삭이던 곳이에요. 임혁필) 아, 그럼 이 강 때문에 못 만나는 건가요? 홍수로 배가 다닐 수 없자 만날 수 없게 된 연인 이현수) 그때는 이 배가 없으니까 강을 못 건너서 못 만나지 임혁필) 야~ 저 먼발치에서 바라보고만 있는 거네요. NAR> 한번 들어봐야겠죠? 자막>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너주게 싸리골 올동박이 다 떨어진다 NAR> 애절한 여인의 소리를 뒤로하고 굽이굽이 깊은 산골 정선아리랑 길을 올랐습니다. 임혁필) 정선아리랑이 이렇게 계속 올라가는데 여기랑 무슨 상관이 있길래 이렇게 올라가는 겁니까? 자막> 성마령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와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의 경계에 위치한 고개 이현수) 여기가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하고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 경계입니다. 자막> 별 성/ 문지를 마/ 고개 령 성마령 星摩嶺 정상에서 별을 어루만질 수 있다 이현수) 그래서 옛날부터 성마령 별 ‘성’자 문지를 ‘마’자 고개 ‘령’자 해서 정상에서 별을 어루만질 수 있다고 해서 성마령이라고 이름이 붙여졌고 자막> 정선으로 들어오는 관문 성마령 이현수) 보부상, 상인들도 마찬가지고 관리들이 정부에서 명령을 받고 여기로 다 넘어오는 관문이에요. 자막> 아질아질 꽃베루 지루하다 성마령 NAR> 그 옛날 성마령 고개가 얼마나 넘기 힘들고 고단했는지 이 노랫말에서 느껴지시죠? 자막> 노래가 안 나올 수 없는 길 성마령 정상 임혁필) 아 노래가 안 나올 수가 없네요. 여기가 어딥니까? 이현수) 여기가 성마령 정상이에요. 임혁필) 여기가요? NAR> 979m의 성마령 고개는 수많은 정선아리랑의 동기가 됐는데요. 자막> 성마령(星摩嶺) 고난의 길, 극복의 길, 즐거움의 길! 이현수) 정선 국민들은 등짐을 지고 이 길을 오르락내리락했기 때문에 고난의 길도 되고 극복의 길도 되고 즐거움의 길도 되고 그래요. 자막> 아리랑을 벗 삼아 부르며 다닌 고갯길 성마령 이현수) 그러니까 항상 아리랑을 벗 삼아 부르면서 다녔죠. 임혁필) 그렇군요. 노래가 안 나올 수가 없습니다. 이현수) 네. 맞습니다. NAR> 성마령 고갯길 이야기를 듣자니 그 옛날 이곳의 풍경이 절로 그려졌는데요. 울고 왔다 울고 간다는 성마령 고개. 이런 모습이지 않았을까요? 자막> 정선아리랑 전수관 NAR> 정선 어디를 가도 아리랑 소리는 끊이질 않습니다. 모두 정선아리랑을 배우려고 모였다는데요. 아이들 실력 한번 보시겠습니까? 자막> 남녀노소가 함께 아리랑을 배우는 현장! 임혁필)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제가 돌아다니면서 아리랑도 많이 배우고 그랬거든요? 근데 이렇게 남녀노소 아이들 어르신 할 것 없이 다 같이 배우는 데는 처음 봤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아니 이게 어찌 된 일입니까? 자막> 김남기 / 정선아리랑 예능보유자 정선은 아리랑의 고장이다 보니까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부르니까 아이들도 듣고 부르고 누구나 한 마디씩은 모두 부를 수가 있지요 김남기) 정선은 아리랑의 고장이다 보니까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부르니까 아이들도 듣고 부르고 누구나 한 마디씩은 모두 부를 수가 있지요 자막> 정선 사람이라면 아리랑은 기본 NAR> 정선 사람이라면 기본적으로 한 소절씩은 한다는 정선아리랑. 이 정도가 기본입니다. 임혁필) 아이고 이 노래가 푹 빠져드는데 제가 사실은 음치거든요. 자막> 음치도 정선아리랑 할 수 있다? 임혁필) 저 같은 사람도 배울 수 있을까요? 김남기) 그럼요. 배울 수 있죠. 자막> <눈이 올라나> 한 소절 도전! 임혁필) 여기까지! 한 소절. 눈이 올라나. 자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제 들어가죠? 이걸 먼저 치는 건가요? 제가 먼저 들어가는 건가요? 자막> 눈이 올라나…. 임혁필) 눈이 올라나~ 자막> 시청자 여러분 죄송합니다. -제작진 일동- 임혁필) 선생님 평가는 어땠을지 궁금하네요. 자막> 10년은 배워야 기본실력 김남기) 금세 배우시는 거 봐서는 잘하는데 한 10년 배우시면 될 것 같아요. 임혁필) 10년이요? 10년? 자막> 비가 올라나 집에 가야겠다. 임혁필) 비가 올라나 집에 가야겠다~ 자막> 남다른 아리랑 사랑 정선 NAR> 비록 제 실력은 형편없었지만 정선분들의 아리랑 사랑만은 확실히 느낄 수 있었는데요. 다 이분들의 노력과 애정이 있었기에 정선아리랑이 전해올 수 있었던 거겠죠? 자막> 제작지원 문화재청 / 한국문화재재단 구성 박수진 자료조사 권유니 자료제공 문화유산채널 항공촬영 스카이블루버드 촬영 정성호 연출 허성무 뉴데이픽쳐스 자막> 아리랑 배우러 정선으로 오세요 남자 MC) 네 아리랑 하면 우리 민족의 애환이 서려 있는데 임혁필씨가 부르는 아리랑은 솔직히 말씀드리면 애환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여자 MC) 정선아리랑은요 듣고 있으니까 유달리 뭔가 좀 찡해지기도 하고 좀 서글프고 그런데요? 자막> 임혁필 인물> 임혁필 임혁필) 이 ‘한’이라는 게 우리의 유전자에 새겨져 있는 것 같아요. 정선에 가시면 정선아리랑 전수관이 있는데요. 가셔서 노래도 배우고 공연도 볼시고 그럴 수가 있다고 하네요. 정선에 가시면 꼭 한번 들러보시기 바라겠습니다.
내용
삶의 희로애락을 담은 노래. 우리의 소리 '정선아리랑'을 찾아서 떠나보자.
I801:1502004-002-V00078
목록
다음글
[KBS 6시 내고향] 내고향 문화재 38편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김장
이전글
[KBS 6시 내고향] 내고향 문화재 40편 김해 수로왕릉
SNS 로그인
댓글등록
비밀댓글 체크박스
비밀댓글
(
0
/ 300)
전체댓글수: